블로그 원문
[이타서울] 산불지역 토양 재생 연구단 리:포레스트 서포터즈
강원 경포 현장 활동 후기 !
안녕하세요 ~~~!!
[이타서울] 산불지역 토양 재생 연구단
'리:포레스트 서포터즈'에 참여하게 된 김영서입니다

<강릉 경포 산불 피해지>의 토양 복원을 위해 결성된 '리:포레스트 서포터즈'는
경포 현장 토양 복원 활동 및 토양 복원 발제 리포트 작성을 통해
숲과 토양을 복원한다는 궁극적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리:포레스트 홈페이지
대형 산불 피해지의 토양은
대부분 표토의 유기물이 전부 연소, 휘발되어
매우 척박하고 식물이 자라나기 어려운 환경을 갖고 있어요.
때문에 생태천이가 일어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산불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 힘들어지죠.
때문에 국내외에서는 여러 산불 피해 복원 사업이 전개되고 있고,
대표 기술로는 <코드오브네이처>사의 이끼 배양액 살포 기술 등이 있어요.
코드오브네이처 홈페이지
그럼 먼저,
저희 5팀 <시켜줘우리숲명예소방관>팀이 수행한
'경포 현장 토양 복원 활동'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서울에서 다같이 모여 강릉 경포 산불 피해지로 이동했습니다 ! 도착 후 이타서울 대표님의 말씀을 듣는 중입니다 :)

도착하자마자 드론들이 멋있게 날아다니며
이끼 배양액을 살포하는 모습을 봐서
신기하기도 하고, 설레기도 했어요!
저 드론 한 개 값이 외제차 하나랑 맞먹는다네요 ...

도착한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매우 척박한 모습이었답니다 :( 바로 앞에 보이는, 산불 피해를 받지 않은 산과 대조해서 보니 그 황폐함이 더욱 두드러졌어요.
이곳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던 수많은 생물들을 생각하니 안타까웠답니다.
안타까운 만큼 !! 열심히 토양 복원을 통해
삶의 터전을 돌려주고픈 마음!!
먼저 교란종인 '자리공'을 제거하러 갔습니다 !

STEP1. 교란종 '자리공' 제거하기
사진 출처 : https://vo.la/gYdTsO
요즘 서울 산지에서도 굉장히 많이 보이는 식물이죠?
자리공은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번식력이 뛰어나 자생식물의 번식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태교란종'으로 분류되었어요.
이런 '생태교란종'들은, 뿌리와 열매 등이 땅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거하여 토양을 회복시켜야 한답니다 !

삽과 호미 등을 이용해 교란종 '자리공'의 뿌리를
열심히 캐고, 밟고, 부쉈어요.

교란종 '자리공'은 블루베리 같이 생긴 예쁜 열매를 갖고 있는데, 이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끝도 없는 번식력을 가진다고 하네요(ㅎㄷㄷ)
땅에 떨어지지 않게 조심조심하며, 한 군데로 가져와 모았어요.

교란종 '자리공', 많이 모였죠?
모인 열매는 가위를 이용해 모두 잘라내었고,
줄기는 따로 폐기했습니다!
STEP2. 이끼배양액 살포하기
번에는 황폐화된 토양에 식물이 자라나고,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이끼배양액'과 '미생물 희석액'을 살포하는 과정입니다!
이끼는 수많은 기공을 통해 초본류, 목본류보다
먼저 토양에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선태식물이예요.
따라서 <코드오브네이처>는 이끼 포자 배양 혼탁액과 관련 미생물 희석액을 주기적으로 살포하고, 심은 나무의 수고를 2주 단위로 측정하여 그 복원의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있어요.

다같이 모여서 <코드오브네이처> 대표님의 말씀을 듣고,

물통에 이끼 포자와 미생물을 넣어 현탁액을 만들었어요!
넣어지는 이끼 포자와 미생물은 인근 자생종을 통해 배양되고, 이 이끼와 미생물은 대상지 토양 특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
정말 세심하고 적합한 복원방법이죠?

저희 팀과 제가 열심히 토양에 이끼 배양액을 살포하는 모습입니다.
저희는 스프링클러로 살포했지만
인간 접근이 어려운 급경사지나 불모지
또는 넓은 구역은 헬기, 드론으로 살포하신다고 해요!

저희는 이끼 배양액 살포뿐만 아니라 식재된 나무의 수고 측정까지 아이폰의 '측정'어플을 이용하여 진행했답니다.
아이폰 사진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에
모인 위치 데이터와 나무의 수고 데이터를 결합하여
GIS상으로 구현, 복원 정도를 평가하신다고 하셨습니다!


활동이 끝난 후에는 '이타시티' 앱에서 <쓰레기 뉴스 발행>활동까지 진행했답니다!
제가 발행한 <쓰레기 뉴스>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https://ita.city/@한국.등산로.생태계훼손.직접청소.by.뽀대걸@ip998-2
산불과 그 피해 토양, 복원까지 일련의 과정에 관심이 많아 이번 활동에 지원하게 되었는데,
직접 복원을 하는 과정을 두 눈으로 보고 실행하니 참 많은 것을 느꼈어요.
강원도 등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형 산불은 많은 생명과 재산을 앗아감에도 불구하고,
항상 도심에 살아왔던 저는 몸소 그 참담함을 실감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불길은 항상 화면 너머 넘실거렸고, 까만 잿덩어리의 토양도 역시 그랬으니까요.
산불 피해지 토양의 복원 역시, 그저 '오래 걸리는 것', '자원봉사자들이 열심히 나무 심으면 되는 것'으로만 생각했어요.

그러나 직접 이끼 배양 현탁액을 만들어 빈 토양에 뿌리고, 날아다니는 드론을 보며 많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토양이 이렇게까지 훤히 드러날 정도로, 그리고 생물은 물론 인간이 쓸 화장실 하나 주위에 없을 정도로
산불이 무섭고 거셌겠다는 생각.
한편 이렇게 척박한 토양에서도 어느새 무섭게 자라난 교란종 '자리공'을 보니,
우리 토양 생태계와 자생종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되었답니다.
서울로 돌아오는 버스에서 이런 생각을 했어요.
겉잡을 수 없이 번지는 것이 산불이고,
허무하게 꺼져버리는 것이 피해지의 생명이지만,
이토록 많은 분야의 다양한 분들이 노력하여
생태계를 살려내는 것을 보니, 정말 세상에는 못할 일 하나 없다 !

그 과정에 있어 제가 미약하게나마 기여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만들어 주신 [이타서울]과 <코드오브네이처> 분들께 무한한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해당 활동은 "지구투자보험"
리:포레스트 서포터즈로 참여한 후기입니다.
#지구투자보험 #리포레스트서포터즈 #리:포레스트서포터즈 #초록괴물버스터즈 #토양복원 #이타서울
블로그 원문
[이타서울] 산불지역 토양 재생 연구단 리:포레스트 서포터즈
강원 경포 현장 활동 후기 !
안녕하세요 ~~~!!
[이타서울] 산불지역 토양 재생 연구단
'리:포레스트 서포터즈'에 참여하게 된 김영서입니다
<강릉 경포 산불 피해지>의 토양 복원을 위해 결성된 '리:포레스트 서포터즈'는
경포 현장 토양 복원 활동 및 토양 복원 발제 리포트 작성을 통해
숲과 토양을 복원한다는 궁극적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리:포레스트 홈페이지
대형 산불 피해지의 토양은
대부분 표토의 유기물이 전부 연소, 휘발되어
매우 척박하고 식물이 자라나기 어려운 환경을 갖고 있어요.
때문에 생태천이가 일어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산불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 힘들어지죠.
때문에 국내외에서는 여러 산불 피해 복원 사업이 전개되고 있고,
대표 기술로는 <코드오브네이처>사의 이끼 배양액 살포 기술 등이 있어요.
코드오브네이처 홈페이지
그럼 먼저,
저희 5팀 <시켜줘우리숲명예소방관>팀이 수행한
'경포 현장 토양 복원 활동'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서울에서 다같이 모여 강릉 경포 산불 피해지로 이동했습니다 ! 도착 후 이타서울 대표님의 말씀을 듣는 중입니다 :)
도착하자마자 드론들이 멋있게 날아다니며
이끼 배양액을 살포하는 모습을 봐서
신기하기도 하고, 설레기도 했어요!
저 드론 한 개 값이 외제차 하나랑 맞먹는다네요 ...
도착한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매우 척박한 모습이었답니다 :( 바로 앞에 보이는, 산불 피해를 받지 않은 산과 대조해서 보니 그 황폐함이 더욱 두드러졌어요.
이곳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던 수많은 생물들을 생각하니 안타까웠답니다.
안타까운 만큼 !! 열심히 토양 복원을 통해
삶의 터전을 돌려주고픈 마음!!
먼저 교란종인 '자리공'을 제거하러 갔습니다 !
STEP1. 교란종 '자리공' 제거하기
요즘 서울 산지에서도 굉장히 많이 보이는 식물이죠?
자리공은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번식력이 뛰어나 자생식물의 번식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태교란종'으로 분류되었어요.
이런 '생태교란종'들은, 뿌리와 열매 등이 땅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거하여 토양을 회복시켜야 한답니다 !
삽과 호미 등을 이용해 교란종 '자리공'의 뿌리를
열심히 캐고, 밟고, 부쉈어요.
교란종 '자리공'은 블루베리 같이 생긴 예쁜 열매를 갖고 있는데, 이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끝도 없는 번식력을 가진다고 하네요(ㅎㄷㄷ)
땅에 떨어지지 않게 조심조심하며, 한 군데로 가져와 모았어요.
교란종 '자리공', 많이 모였죠?
모인 열매는 가위를 이용해 모두 잘라내었고,
줄기는 따로 폐기했습니다!
STEP2. 이끼배양액 살포하기
번에는 황폐화된 토양에 식물이 자라나고,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이끼배양액'과 '미생물 희석액'을 살포하는 과정입니다!
이끼는 수많은 기공을 통해 초본류, 목본류보다
먼저 토양에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선태식물이예요.
따라서 <코드오브네이처>는 이끼 포자 배양 혼탁액과 관련 미생물 희석액을 주기적으로 살포하고, 심은 나무의 수고를 2주 단위로 측정하여 그 복원의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있어요.
다같이 모여서 <코드오브네이처> 대표님의 말씀을 듣고,
물통에 이끼 포자와 미생물을 넣어 현탁액을 만들었어요!
넣어지는 이끼 포자와 미생물은 인근 자생종을 통해 배양되고, 이 이끼와 미생물은 대상지 토양 특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
정말 세심하고 적합한 복원방법이죠?
저희 팀과 제가 열심히 토양에 이끼 배양액을 살포하는 모습입니다.
저희는 스프링클러로 살포했지만
인간 접근이 어려운 급경사지나 불모지
또는 넓은 구역은 헬기, 드론으로 살포하신다고 해요!
저희는 이끼 배양액 살포뿐만 아니라 식재된 나무의 수고 측정까지 아이폰의 '측정'어플을 이용하여 진행했답니다.
아이폰 사진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에
모인 위치 데이터와 나무의 수고 데이터를 결합하여
GIS상으로 구현, 복원 정도를 평가하신다고 하셨습니다!
활동이 끝난 후에는 '이타시티' 앱에서 <쓰레기 뉴스 발행>활동까지 진행했답니다!
제가 발행한 <쓰레기 뉴스>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https://ita.city/@한국.등산로.생태계훼손.직접청소.by.뽀대걸@ip998-2
산불과 그 피해 토양, 복원까지 일련의 과정에 관심이 많아 이번 활동에 지원하게 되었는데,
직접 복원을 하는 과정을 두 눈으로 보고 실행하니 참 많은 것을 느꼈어요.
강원도 등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형 산불은 많은 생명과 재산을 앗아감에도 불구하고,
항상 도심에 살아왔던 저는 몸소 그 참담함을 실감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불길은 항상 화면 너머 넘실거렸고, 까만 잿덩어리의 토양도 역시 그랬으니까요.
산불 피해지 토양의 복원 역시, 그저 '오래 걸리는 것', '자원봉사자들이 열심히 나무 심으면 되는 것'으로만 생각했어요.
그러나 직접 이끼 배양 현탁액을 만들어 빈 토양에 뿌리고, 날아다니는 드론을 보며 많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토양이 이렇게까지 훤히 드러날 정도로, 그리고 생물은 물론 인간이 쓸 화장실 하나 주위에 없을 정도로
산불이 무섭고 거셌겠다는 생각.
한편 이렇게 척박한 토양에서도 어느새 무섭게 자라난 교란종 '자리공'을 보니,
우리 토양 생태계와 자생종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되었답니다.
서울로 돌아오는 버스에서 이런 생각을 했어요.
겉잡을 수 없이 번지는 것이 산불이고,
허무하게 꺼져버리는 것이 피해지의 생명이지만,
이토록 많은 분야의 다양한 분들이 노력하여
생태계를 살려내는 것을 보니, 정말 세상에는 못할 일 하나 없다 !
그 과정에 있어 제가 미약하게나마 기여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만들어 주신 [이타서울]과 <코드오브네이처> 분들께 무한한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해당 활동은 "지구투자보험"
리:포레스트 서포터즈로 참여한 후기입니다.
#지구투자보험 #리포레스트서포터즈 #리:포레스트서포터즈 #초록괴물버스터즈 #토양복원 #이타서울